적금 이자 계산기로 종잣돈 모으기.
재테크에 출발은 종잣돈 입니다. 부동산에 투자를 하든 주식을 사든 어느 정도 종잣돈이 모여야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저도 부동산과 주식 모두 투자를 하고 있지만 그 시작은 적금과 예금이였습니다. 다음과 네이버에 적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포털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데 제가 오늘 소개할 방법은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통한 방법입니다. 회원가입이나 추가로 인증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포털에서 제공하지 않는 적금 이자 복리 계산기도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적금 계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상단 메뉴 중 자산관리를 클릭해 주세요.
자산관리 화면 우측에 계산기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는데요. 클릭해 보겠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적금 계산기뿐만 아니라 예금 계산기, 대출 계산기 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사실 적금 계산기라기 보다는 금융 계산기가 맞을 것 같은데요. 오늘의 목적인 적금 계산기를 클릭해 보겠습니다.
그럼 이렇게 적금 계산기 모양의 화면이 생성 되는데요. 이곳에서 '만기에 지급하는 금액 or 목표금액을 모으려면' 을 선택해서 본인이 필요한 적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저는 두가지 결과를 비교해서 보여 드리겠습니다.
저는 만기에 지급하는 금액을 우선 선택했고, 매월 50만원씩 2년을 적립하고 이율은 2%로 계산을 해볼텐데요. 이자 계산방법에서 단리와 복리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리고 계산하기를 클릭해 적금 이자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우측과 같은 결과가 보여집니다. 이때 개인에 따라 일반과세, 세금우대, 비과세 중 하나의 상품으로 가입할 수 있고 세후 이자의 차이로 인해 조금씩의 금액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금 계산기에서 같은 조건으로 이자를 월복리로 계산해 보면 2년 후 목돈은 단리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사실 복리의 마법은 엄청 중요하긴 하지만, 금액이 적고, 단기의 기간에 이자율이 높지 않다면 사실 그 힘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목표 금액을 모으려면을 통해서 적금 계산기를 이용해 보면요. 예를 들어 1억을 3년 동안 모으고 싶다면 얼마를 저축해야 할까라고 가정하고 각각의 금액과 기간, 이자를 입력하고 월 복리로 계산해 봤습니다. 그럼 매달 2,705,805원을 적금해야 한다고 계산이 됩니다. 월 적립액 또한 일반, 세금우대, 비과세 혜택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 홈페이지를 이용하려면 각종인증서에 회원가입을 해야하기 때문에 추천을 안드리는 편인데요.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통한 적금 계산기는 비회원으로 이용가능하고 따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이 없어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네요. 적금 이자 계산기 뿐만 아니라 예금, 대출 등 다른 계산기도 같이 이용가능한 점이 좋구요. 적금 이자 계산할때 이용해 보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갱년기 증상과 극복방법. (0) | 2018.07.15 |
---|---|
공기정화 식물 best 5 확인하세요 (0) | 2018.07.14 |
KB 국민 노리체크카드 재발급 및 혜택 (0) | 2018.07.10 |
러시아 월드컵 우승상금 얼마나 될까? (0) | 2018.07.08 |
음주운전 동승자 처벌 벌금과 근거. (0) | 2018.07.07 |